가끔씩 노크 톸돜

중세 봉건제 사회 #2

 

 

 이 중에 중세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계급은 영주 계급이다. 영주는 성의 주인으로서 성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에 해당하는 장원을 소유하고 있었다. 장원은 쉽게 말하면 영주의 사유지다. ... 장원은 직접적으로 영주의 영향권에 놓인 까닭에 장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생산물은 영주의 것과 다름이 없었다. 즉 장원은 영주의 생산수단이라 하겠다. ... 영주들은 자신의 방원을 방어하기 위해 성을 축조하기 시작했다. 벽이 두껍고 높은 성이 있어야 적들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세 시대를 거친 사회는 성을 소유하게 되었다. ...

 

 

 ... 그리스도교의 영향을 받는 사회에서는 인간이 신이 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국왕은 신이 아니라 신으로부터 통치의 권한을 인정받은 존재였다. 그 권한을 성직자가 인정해주었고, 그 대가로 국왕은 성직자의 생활을 보장해 주었다. .. 그만큼 사회가 안정되고 견고했던 것이다. 이러한 안정적 사회가 가능했기에 중세는 천 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런데 중세 후기가 되면 견고했던 사회적 분위기는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한다. 첫 번째 원인은 상업의 발달에서 찾을 수 있다. 지중해를 중심으로 무역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부를 축적한 상인 계층이 등장헀다. 이들은 고대와 중세의 유일한 생산수단인 토지와 영토 그리고 장원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당연히 이들은 생산수단을 소유한 지배층의 권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으며, 또 스스로도 자유로워지려고 노력했다.

 

 

 두 번째 원인은 공장의 발생에서 찾을 수 있다. 18세기가 되면서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을 발명했다. 증기기관은 물을 끓여서 발생한 수증기로 터빈을 움직여서 기계를 작동시켰다. 이러한 증기기관이 당시에 발전한 분업과 만난다. 분업은 한 명이 하던 복잡한 일을 여럿이 분담함으로써 일의 효율을 높이는 작업 방식이다. ... 작업이 분담되니 일은 단순해지고 빨라졌다. 이러한 분업이 증기기관과 만나 폭발적인 효율성을 일으켰는데, 그것은 공장의 등장을 의미했다. 증기기관은 단순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었기에, ... 분업된 작업 단계 중 단순한 동작이 필요한 과정에 증기기관을 설치했다. ...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공장의 의미다. 공장은 시장에 내다 팔 수 있는 많은 양의 생산물을 만들어낸다. 즉 공장은 새로운 생산수단이다. ... 이렇게 생산수단을 소유한 계급을 `부르주아‘라고 부른다. 부르주아라는 뜻 자체가 생산수단을 소유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부르주아는 다른 말로 자본가 계급, 시민 계급, 유산계급이라고도 부른다. ...

 

... 중세 후기의 시대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구권력과 신권력의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